리뷰REVIEW/책BOOK

[책] 반응하지 않는 연습 : 직장동료와의 갈등에서 벗어나기

바른즐거움 2024. 3. 31. 23:57
728x90
반응형

 


책, 반응하지 않는 연습을 읽게 된 계기 

혹시 주변 사람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가? 

 

나 또한 그랬다. 

 

가깝게는 가족, 친구부터 회사 동료, 직장 상사, 선배, 후배까지 다양한 범위와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우리는 매일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고 있다.

책 <반응하지 않는 연습>

이런 스트레스가 매일 쌓이고 하루하루가 피곤해지면 다음날 살아갈 기력조차 잃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럴 때 어떻게 해야할까?

 

그 사람이 잘못됐다고 당당하게 맞서며 지적하고 화를 내며 싸워야 할까? 아니면 쥐 죽은듯이 참고 견디는 삶을 살아야하는 걸까?

 

그것에 대한 정답은 존재하지 않을 지 모른다. 하지만 책 <반응하지 않는 연습>에서 조금의 팁을 얻고자 했다. 


톼사하는 진짜 이유 : 인간관계

안전저널 제공

2020년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퇴사 경험이 있는 직장인 2288명을 대상으로 '퇴사 사유'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2명 중 1명이 퇴사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그들이 퇴사한 진짜 이유는 직장 내 갑질 혹은 동료들과의 갈등이 주를 이뤘고 문화가 맞이 않는다는 의견도 다수를 이루었다. 

 

사실 회사를 그만두는 이유에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일 자체가 힘들어서 퇴사하기보다 주변의 사람이 불편하거나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크게 다가오는 경우가 많다. 

 

흔히들 '일은 힘들어도 버티지만 사람은 힘들면 버티지 못한다'는 얘기도 있지 않은가.

반응형

반응하지 않는 연습, 목차 및 내용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반응하기 전에 우선, 이해한다.

2장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

3장 부정적인 감정을 떨쳐버리는 연습

4장 타인의 시선에서 홀가분해지는 연습

5장 경쟁이라는 가짜 현실에서 벗어나는 연습

6장 나를 피곤하게 마드는 것들에 반응하지 않는 연습


스트레스의 원인

그 중 감명 받은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마음의 고요를 찾기 위해 그 원인이 어디로부터 오는 지 알아야한다. 

 

스트레스의 원인은 크게 1) 내가 아닌 남으로부터 오는 자극 그리고 2) 나 스스로가 주는 자극으로 나눌 수 있다. 

 

1) 남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는 내가 직장 동료와 겪은 경험과 관련되어 있었고 결과적으로 큰 개선이 있었다. 

 

2) 스스로 스트레스를 주는 부분, 예를 들어 지금 하는 일이 만족스럽지 않다든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라든지 이런 것들은 자기 긍정과 삶의 기대감을 높여가는 방향으로 최종적으로 이끌어 나가야한다. 


감명 깊었던 부분

책 <반응하지 않는 연습>의 초반부에 이런 고민이 제시된다. 

'성격이 맞지 않는 사람이 있어 스트레스를 받는다.' 정확히 내 상황과 일치했다. 

 

같은 사무실에 자신의 성향과 맞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야말로 지옥과도 같다. 

 

업무하는 내내 스트레스를 받고 아예 그 사람이 없어져버렸으면 좋겠다는 부정적인 생각을 한다. 

물리적으로 거리를 둘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것이 불가능 할 때 어떻게 해야할까?

 

가장 도움 받은 글귀를 두가지 꼽자면 1) 내가 옳다는 생각에서 벗어나보기 2)판단은 때때로 맹독이 된다이다. 

반응형

사람은 정말 하나부터 열까지 다르다

우선, 사람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한다. 

 

이 말은 말그대로 사람은 개개인마다 정말 하나부터 열가지 모두 다르다는 것절실히 인식하고 인정하는 데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렇기에 사람은 개인마다 자신이 단지 경험한 만큼의 인내심, 판단의 기준, 옳다고 생각하는 청사진이 존재한다. 

 

그리고 우리는 기준에 따라 나의 주변사람들애게 기대한다. 

 

'이 정도는 되어야지' 혹은 '이 정도도 못하면 그게 사람이냐'라는 식으로 말이다.

본인이 누군가 좋다 나쁘다는 판단을 할 때 결국 자신의 기준을 잣대로 생각할 수 밖에 없으며 우리는 대부분 그 생각이 맞다고 착각한다. 

 

그 착각이 괴로움의 시작이며 그 괴로움은 점점 분노를 키워간다. 


인간관계에서의 한마디 조언

회사에서 나와 맞지 않는 사람이 있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뜻은 내가 그로부터 어느 정도의 기대를 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인간이라면 혹은 동료라면 일의 처리 및 방식, 의사소통의 방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기준에 맞는 기대치를 기대했지만 그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에 인간관계의 갈등이 시작된다. 

기대치가 높다면 실망하기 마련이며 결국 갈등이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관계에 대해 가장 중요한 조언그 사람에 대해 기대치를 반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사람을 만날 때는 100점 만점 기준이 아니라 50점 기준으로 만나며 의사소통 해야한다. 

 

그렇게 된다면 인간관계로부터 오는 갈등의 강도가 줄어들고 '저 사람은 원래 그래'는 이해가 가능해진다.


 

728x90
반응형